KOREAN FINE ART

여기 제주의 풍경을 그리는 작가가 있습니다. 노란 종이 위 파란 선으로 그려진 풍경에서는 제 주의 젖은 바람이 불어오는 듯합니다. 다정한 풍경을 그리고 있는 정다은 작가를 만났습니다. 

정다은 JEJU 2022

정다은 작가는 제주를 그리는 작가입니다. 그는 7번의 제주 여행을 통해 수집한 풍경들을 그림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제주의 풍경을 그려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 ‘내 그림을 그려야 하는 시기’가 온 거예요. 뭘 그려야 할 까 생각했는데 도저히 모르겠는 거죠.”



이것저것 그리다가 든 생각은 ‘이건 아니다’였다고 합니다. 



“사람들에게 멋있어 보이려고 그린 ‘가짜’라는 생각이 들 었어요. 못 그려도, 이상해도 괜찮으니까 가장 솔직하게 그릴 수 있는 것을 그리자.”



그때 문득 떠오른 것이 제주 여행이었습니다. 제주 여행은 가장 솔직할 수 있었던 순간이었습니 다. 작가는 자연의 거대함과 위대함 앞에서 위로와 경외감을 모두 느꼈습니다. 



”하루는 파라솔을 빌려서 해변에 하루 종일 앉아있었어요. 계속 멍 때리고 있으면서, ‘나라는 존재는 이렇게 작은 존재구나. 정말 별거 아니구나. 그러니까 뭘 해도 괜찮겠다….’ 제주에서 비 우고 오면 채울 수 있는 용량이 늘어나는 기분이었죠.그래서 계속 갔던 것 같아요.” 




작가는 솔직한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열망을 따라 꾸밈없는 자연을 그렸습니다. 그림 속 풍 경은 제주의 풍경인 동시에 그의 마음속 풍경이기도 합니다. 작가는 같은 장소를 찍은 사진 들을 나열한 후 기억과 상상을 토대로 재구성해 새로운 풍경을 만들었습니다. 특히 공기를 표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작가는 처음 들판을 초록색 덩어리로 바라봤습니다. 


어느 순간 초록색 덩어리는 바람에 흔들리는 키 작은 풀들로 구체화되었습니다. 이 순간을 선물한 공기의 움직임을 담아냈습니다. 제주의 색도 고스란히 담겼습니다. 


동백꽃의 다홍빛, 넘실대는 제주 바다의 옥빛, 구멍이 숭숭 난 돌의 까만 빛은 정다은만의 팔레트가 되었습니다. 제주를 그리지 않았다면 얻지 못했을 색 들입니다. 


 “그림을 그릴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건 물감을 짜놓은 팔레트잖아요. 제가 생각하는 정다은 의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등 색을 골라 저만의 팔레트를 만들었어요. 그 안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고 색을 사용해요. 또 제주도에 가면 신경 써야 할 것이 없고 시간은 많으니 경치를 바라보게 되는데, 제주의 색이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서울의 돌은 회색인데 제주의 돌은 까매요. 그런 색깔을 구현하 려고 하다 보니 저만의 색이 만들어진 것 같아요.“





#하나의_장면에서_하나의_이야기로 


이제 정 작가는 차곡차곡 쌓인 풍경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가고 있습니다. 


“저는 제 그림이 하나의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각 그림이 하나의 컷이 되어 커다란 이야기를 이루는 거죠. 이 그림에서 차를 타고 가면 이 그림이 나오고 또 이 그림이 나오고, 그런 식으로 계속 연결되거든요.” 


그림 속 장소만 확장된 것은 아닙니다. 동양화를 전공했지만 회화와 일러스트를 오가며 활 동하고 있고, 판화와 아트콜라보 작업으로까지 경계를 넓혔습니다. 컷(cut) 형식에 관한 아이 디어는 인상 깊게 보았던 만화의 이미지에서 왔습니다. 


“그림은 당연히 화판에 그려야 하고, 그렇게 그려진 그림은 갤러리에 걸려야 한다고 생각할 때도 있었어요. 그런데 그림이 적용될 수 있는 곳은 정말 다양하더라고요.” 


신중하고 단단하지만 발걸음은 더없이 경쾌한 정다은의 세계는 앞으로도 더 넓어질 예정입니다. 



“제주로 시작했지만 거기서 끝나지 않고 새로운 풍경들을 그려내고 싶어요. 새로운 풍경을 더할수록 그림 속 세계관도 확장되겠죠. 올해는 독일에 가게 됐는데, 독일의 풍경을 어떻게 그릴지 저도 기대하고 있어요.”